치아밸런스 교정
가철식 교정장치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교정문헌에 따르면 1900년대 초 미국 조지 크로잿(G. Crozat)이 처음 선보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철식 장치는 유럽에서 더욱 개발되었고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아쉬운 것은 최근 수십년 동안 치의학 교정문헌에서 이 장치에 대한 논의가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그로인해 가철식 장치가 가진 이점을 연구하는 연구자가 그리 많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고정식 교정장치가 계속적으로 혁신됨에 따라 가철식 교정장치의 사용이 점차 줄어들었지만, 교정의 조기 개입이 필요한 어린 아이나 고정식 장치의 적용이 힘든 성인의 경우에 더 효과적입니다. 분명 가철식 장치에는 많은 이점이 있지만, 이 특별한 교정장치가 성인들에게나 아이들에게 여전히 낯설다는 것은 불행한 일입니다.
가철성 성인교정의 치료과정과 그 결과에 대한 자세한 분석은 “가철성 성장기 교정”을 참고해 주세요. 여기서는 성인의 치료사례를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철성 성인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의 나이는 42세입니다.]
정면 모습은 상-하학의 절단교합으로 인해 보기 좋은 미소가 아닙니다.
하악 전치부의 총생(crowding)과 하악 양측 중절치(Mandibular central incisor) 의 전방변위 및 측절치(lateral incisor)의 설측변위가 보입니다.
상악골 전치부의 총생 및 중절치의 회전 회전 변위가 보입니다.
4개의 볼(ball)-걸쇠를 가진 가철식 교정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중앙으로 힘을 가하면서 장치를 유지하기 위한 협측 호선(labial bow)과, 동시적으로 힘을 횡방향으로 가하기 위한 설측 호선(lingual bow)이 고안 되었습니다. 6개의 교합면으로 위치하 는 유지받침이 장치를 수직으로 고정합니다.
가철식 장치가 환자에게 잘 적용된 모습입니다.
불소 도포 후에 치간 삭제(reproximation)를 중절치 근심면(Mesial surface)에서 시행하였습니다. 협측 호선은 교정용 플라이어를 통해 전치부 치아의 입술쪽 중앙 표면을 따라 힘을 가하며, 설측 호선은 전치부를 앞으로 부드럽게 밀어줍니다.
마지막 상담 후 교정치료가 끝나게 됩니다. 환자의 유지 과정이 진행됩니다.
이 모든 과정은 8개월이 소요되었습니다. 1번 사진과 비교해보면, 변화가 확연하게 보입니다.
대개 성인들은 아이들에 비해 눈에 덜 띄는 교정장치를 선호합니다. 가철성 교정장치는 이러한 성인들의 선호도를 충분히 만족시켜 줍니다. 성인 환자가 교정 규칙을 잘 준수한다면 짧은 시간에 충분한 효과를 보일 것입니다. 가철식 장치는 간단하지만,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성인 교정치료의 한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일상이 바쁜 성인들에게 시간적-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입니다.
가철성 교정은 치아의 발거 혹은 삭제 없이 악골의 성장과 치아배열을 위한 공간형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추후 고정식 교정장치가 적용되어야 할 경우, 치아와 치아 지지조직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치근 흡수나 치주염 등의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킵니다.
진료시간 안내
평일 (월!금) 오전 10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1시
점심시간 오후 12시30분 ~ 오후 2시
※ 일요일·공휴일 휴진
Copyright ⓒ 2021 이엘아이스타치과의원 All rights reserved.
상담 및 문의
T. 042.482.2855
평일(월~금) : 오전 10시 ~ 오후 6시
토요일 : 오전 9시 ~ 오후 1시
점심시간 : 오후 12시30분 ~ 오후 2시
※ 일요일·공휴일 휴진
Copyright ⓒ 2021 이엘아이스타치과의원 All rights reserved.